🔗 기사 원문보기
출처 : 정성민 기자 | 한국NGO신문
청소년·인권·시민단체가 노키즈존(No Kids Zone, 음식점·카페 등에서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것) 폐지 캠페인을 전개한다. 노키즈존이 차별이라는 이유에서다.
대전청소년모임 한밭,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아동청소년인권위원회, 사단법인 온율, 정치하는엄마들,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이하 청소년·인권·시민단체)는 2일 세계어린이운동발상지 기념비 앞(서울 종로구 천도교 수운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노키즈존은 차별이다'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청소년·인권·시민단체에 따르면 201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출입 제한 방침의 영업장, 이른바 '노키즈존'이 증가하고 있다. 시민사회는 노키즈존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고 국가인권위원회도 노키즈존 영업을 차별로 판단, 시정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노키즈존이 '영업자의 자유'와 '양육자·어린이의 자유' 사이의 갈등으로만 인식되고 있다는 게 청소년·인권·시민단체의 지적이다.
(후략)
🔗 기사 원문보기
출처 : 정성민 기자 | 한국NGO신문
청소년·인권·시민단체가 노키즈존(No Kids Zone, 음식점·카페 등에서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것) 폐지 캠페인을 전개한다. 노키즈존이 차별이라는 이유에서다.
대전청소년모임 한밭,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아동청소년인권위원회, 사단법인 온율, 정치하는엄마들,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이하 청소년·인권·시민단체)는 2일 세계어린이운동발상지 기념비 앞(서울 종로구 천도교 수운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노키즈존은 차별이다'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청소년·인권·시민단체에 따르면 201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출입 제한 방침의 영업장, 이른바 '노키즈존'이 증가하고 있다. 시민사회는 노키즈존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고 국가인권위원회도 노키즈존 영업을 차별로 판단, 시정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노키즈존이 '영업자의 자유'와 '양육자·어린이의 자유' 사이의 갈등으로만 인식되고 있다는 게 청소년·인권·시민단체의 지적이다.
(후략)